예술을 분류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미술은 공간예술, 음악은 시간예술이라고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특히 음악은 시간도 공간도 모두 다 중요한 것 같다. 예를 들자면 뮤지컬이나 콘서트 같은 공연은 좌석에 따라 청취환경이 달라짐으로 가격 차이가 발생하고, 똑같은 음악이 방에서 듣는 것과 화장실, 스튜디오에서 들을 때 또 다르게 느껴진다. 이처럼 소리(음악)와 환경(음향)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 이유를 간단히 말하자면, 1. 소리는 파동(음파)이라 주변 환경(반사, 흡수, 회절, 거리 등)의 영향을 받아 원래 소리(원음)가 듣는 사람(청자)에게 왜곡되어 전달된다. 원음을 왜곡없이 100% 들을 수 있는 환경은 인위적으로 만든 환경(무향실 등)으로도 구현해내기..
*음악 전공자로서 작고 얉은 지식이지만 공유하고 싶어 글을 씁니다. 취미로든 직업으로든 음악을 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음악의 3요소는율동(리듬, rhythm) 화성(하모니, harmony) 선율(멜로디, melody) 이다.무엇 하나 빠지기엔 음악에 있어 우열을 가리기 힘든 근본적인 요소이고, 각각의 요소가 제 역할을 잘할 때 좋은 음악이 될 수 있다. 정의한다면각자 정의를 말하기엔 해석의 여지가 많아서 한 문장으로 표현하기 어렵지만, 나름대로 정의를 해보자면 리듬은 '흐른다'는 뜻의 동사 'rhein'을 어원으로 하는 '흐름'이나 '움직임'을 뜻하는 그리스어 'rhythmos'에서 유래한 말이다. '일정한 흐름 안에 있는 규칙적인 강세' 라고 나는 표현하고 싶다. "태초에 리..
- Total
- Today
- Yesterday
- 컴프레서 종류
- 스피커레벨
- 음악용어
- 샘플링레이트
- 음향 엔벨로프
- 장음정
- 완전음정
- 컴프레서리미터차이
- 플러그인
- 오디오 커넥터
- ADSR
- 미디 플러그인
- 노미널레벨
- 딜레이
- samplingrate
- 라인레벨
- 인스트루먼트레벨
- 오블완
- 음정
- 증음정
- 믹싱
- 서스테인
- 컴프레서
- 컴프레서익스팬더차이
- 리버브
- 감음정
- 레벨매칭
- 향수
- 단음정
- 음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