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믹싱 기본 마인드 📌 기초공사 확실하게 - 드럼, 베이스 위치 설정, 밸런스 📌 믹스 이전에 레코딩과 에디팅이 중요 “나쁜 레코딩으로 훌륭한 믹스를 만들 수 없다” “똥덩어리를 빛나게 할 수는 없다” 🎼 장르별 믹스 특정 장르에서 메인이 되는 사운드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밸런스를 잡아 나가는 것이 중요! ex) 힙합/R&B/댄스/팝 장르 같은 경우 '리듬 악기(드럼, 베이스)'의 사운드를 중심으로 나머지 사운드가 올라가는 느낌 ex) 발라드 같은 경우 '보컬, 피아노,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를 중심으로 나머지 사운드가 올라가는 느낌 👉 힙합(Trap/Drill) : 드럼(808 Kick, 808 Bass 사운드가 메인) 사운드가 메인이 되는 장르 808이란? ROLAND 사의 TR..

마스터링(Mastering)음원 발매 전 최종 조정 과정음압 확보믹스 단계에서의 문제점 보완앨범 단위일 경우 곡과 곡 사이의 레벨, 시간차 설정CD 프레싱 마스터링 순서EQ(Equalizer) (뭉치는 구간 200hz ~ 300hz)이미저(Imager)다이나믹(Dynamic)익사이터(Exciter, 멀티밴드 디스토션)맥시마이저(Maximizer)리미터(Limiter)디더링(Dithering) 사용 플러그인들EQ (Pro-Q3, WAVES F6-RTA, REQ-6, MEQ-5, EQP1A 등등)Saturator (Inflator, Omega TWK, SSL Native-X Saturator 등등)Compressor (Shadow Hills Mastering Compressor, SPL IRON, WAVES..

일반적인 음악 작업 과정작/편곡 - 레코딩 - 믹싱 - 마스터링 - 발매믹싱 과정러프 믹싱 - 다이나믹 프로세싱 - 공간계 프로세싱 러프(rough) 믹싱각 스템(Stem)의 게인(Gain) 조절과 팬(Pan)조절만로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너무 세세하게 작업 하지 않음 - EQ Comp 조절 시 볼륨 변함장르의 사운드적 특성을 이해하고 가는 것이 중요개별 사운드를 전체적인 사운드를 같이 들어보며 고려하나씩 들어가며 dB 레벨을 밸런싱dB 레벨을 조정할 때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올리거나 내림 Meter를 보며 0을 넘어가지는 않는지 체크트랙 별로 들어보고 나서 추가로 dB를 조정하면 됨리듬 : 트랙별로 dB 레벨 조정건반 : dB 레벨 조정과 함께 기타와의 위치를 구상하고 Panning(소리 ..
- Total
- Today
- Yesterday
- 컴프레서 종류
- ADSR
- 라인레벨
- samplingrate
- 감음정
- 샘플링레이트
- 증음정
- 완전음정
- 단음정
- 서스테인
- 믹싱
- 딜레이
- 컴프레서
- 리버브
- 음악용어
- 미디 플러그인
- 컴프레서익스팬더차이
- 음악
- 스피커레벨
- 향수
- 오블완
- 음정
- 오디오 커넥터
- 레벨매칭
- 음향 엔벨로프
- 인스트루먼트레벨
- 컴프레서리미터차이
- 플러그인
- 장음정
- 노미널레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