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화음(三和音, Triad)
: 음악에서 어떤 음을 기초음으로 하여, 그 위에 3도, 5도의 음정으로 쌓아올린 화음. 전통적으로 3화음의 기초가 되는 음을 밑음 혹은 근음(根音, fundamental note / root)이라고 하고, 근음으로부터 3도 위의 음을 제3음(Thrid, 3th), 5도 위의 음을 제5음(Fifth, 5th)이라고 한다. 같은 3도음정이라도 장3도와 단3도의 2종류가 있기 때문에*, 음정의 결합에 따라서 화음의 성질이 바뀐다. 화음의 표기는 클래식이나 전통 화성학적으로는 로마자와 숫자로 보통 표기하고, 재즈나 실용음악쪽에서는 알파벳과 숫자로 보통 표기한다.

- 장3화음(Major triad) : 밑음과 제3음 사이가 장3도, 제3음과 제5음 사이가 단3도, 밑음과 제5음 사이는 완전5도가 되는 화음. 예) 도 미 솔
- 단3화음(Minor triad) : 밑음과 제3음 사이는 단3도, 제3음과 제5음 사이는 장3도, 밑음과 제5음 사이는 완전5도를 이루는 화음. 예) 레 파 라
- 증3화음(Augmented triad) : 밑음과 제3음 사이, 제3음과 제5음 사이가 똑같이 장3도, 밑음과 제5음 사이는 증5도로 된 화음. 예) 파 라 도♯
- 감3화음(Diminished triad) : 밑음과 제3음 사이, 제3음과 제5음 사이가 똑같이 단3도, 밑음과 제5음 사이는 감5도로 된 화음. 예) 시 레 파
* 감3도, 증3도 음정도 있지만 3화음을 비롯한 화음(코드, chord)에서는 취급하지 않는다.
7화음(七和音, Seventh Chord, 7th Chord)
: 음악에서 어떤 음을 기초음으로 하여, 그 위에 3도 · 5도 · 7도의 음을 쌓아올린 화음. 즉, 3화음 위에 7도(Seventh, 7th)의 음을 추가한 화음이다. 화음 기호로 표시할 때에는 화음 옆 또는 화음 위에 숫자 7을 함께 표기한다.

- 장7화음(Major 7th Chord) : 장3화음 + 밑음과 제7음 사이는 장7도를 이루는 화음. 예) 도 미 솔 시
- 단7화음(Minor 7th Chord) : 단3화음 + 밑음과 제7음 사이는 단7도를 이루는 화음. 예) 레 파 라 도
- 속7화음(Dominant 7th Chord) : 장3화음 + 밑음과 제7음 사이는 단7도를 이루는 화음. 예)솔 시 레 파
- 반감7화음(Half-Diminished 7th Chord) : 감3화음 + 밑음과 7음 사이는 단7도를 이루는 화음. 예) 시 레 파 라
- 감7화음(Diminished 7th Chord) : 감3화음 + 밑음과 7음 사이는 감7도를 이루는 화음. 예) 시 레 파 라♭
- 단장7화음(Minor-Major 7th Chord)* : 단3화음 + 장7도 예) 레 파 라 도♯
- 감장7화음(Diminished Major 7th Chord)* : 감3화음 + 장7도 예) 시 레 파 라♯
- 증7화음(Augmented 7th Chord)* : 증3화음 + 단7도 예) 도 미 솔♯ 시♭
- 증장7화음(Augmented Major 7th Chord)* : 증3화음 + 장7도 예) 도 미 솔♯ 시
* 일반적인 음악에서 이 화음들은 이질적인 소리로 거의 쓰이지 않고, 오히려 다른 화음의 변형(alterd)이나 텐션(tention) 코드 느낌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 3화음이라는 용어는 3개의 음이 수직으로 쌓였다는 의미에서 ‘3화음’이라고 부르는데, 간혹 4개의 음이 수직으로 쌓인 화음을 4화음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화음의 개수보다 7음이 그 화음의 성격을 규정하므로 ‘7화음’이라 부르는 것이 원칙적이고, 학술적으로도 4화음이라는 명칭은 따로 쓰지 않는다.
화음(Chord) 기호 및 표기
엄밀히 따지자면 전통화성학 표기와 재즈화성학 표기에는 용도와 의미의 차이가 있다. 그래서 상황과 필요에 따라 기호나 의미를 섞어쓰는 경우도 있다.
화음, 코드 | 클래식, 전통화성학 | 재즈, 실용음악, 재즈화성학 |
장3화음(Major triad) | Ⅰ, Ⅱ, Ⅲ, Ⅳ, Ⅴ, Ⅵ, Ⅶ | C, D, E, F, G, A, B / C△ / CM / Cmaj |
장7화음(Major 7th Chord), 속7화음(Dominant 7th Chord) |
Ⅰ7, Ⅱ7, Ⅲ7, Ⅳ7, Ⅴ7, Ⅵ7, Ⅶ7 | CM7 / Cmaj7 / C△7 |
단3화음(Minor triad) | ⅰ, ⅱ, ⅲ, ⅳ, ⅴ, ⅵ, ⅶ / Ⅰm, Ⅱm, Ⅲm, Ⅳm, Ⅴm, Ⅵm, Ⅶm | Cm / C- / Cmin |
단7화음(Minor 7th Chord) | ⅰ7, ⅱ7, ⅲ7, ⋯ / Ⅰm7, Ⅱm7, Ⅲm7, ⋯ | Cm7 / C-7 |
증3화음(Augmented triad) | Ⅰ⁺, Ⅱ⁺, Ⅲ⁺, Ⅳ⁺, Ⅴ⁺, Ⅵ⁺, Ⅶ⁺ | C⁺ / Caug |
감3화음(Diminished triad) | ⅰ°, ⅱ°, ⅲ°, ⅳ°, ⅴ°, ⅵ°, ⅶ° / Ⅶm♭5 | Cm(♭5) / Cm-5 / Cdim / C° |
감7화음(Diminished 7th Chord) | i°7, ii°7, ⋯ vii°7 | Cdim7 / C°7 |
반감7화음(Half-Diminished 7th Chord) | ⅶø7 / Ⅶm7♭5 | Cm7(♭5) / Cm7(-5) / Cø7 |
전통화성학 표기는 음계의 몇번째 화음인지에 대한 상대적인 표시로 어떤 음계이냐에 따라 소리(화음구성)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C장조의 Ⅰ(그 음계의 1번째 장3화음)는 도미솔, F장조의 Ⅰ는 파라도 이다. 반면에 재즈화성학은 밑음을 포함한 화음을 표기하기 때문에 음계에 상관없이 표기된 대로 소리(화음구성)는 같다. C장조의 C코드(C음을 밑음으로 하는 메이저 코드)나 F장조의 C코드는 똑같이 도미솔로 같다.
# 특히 재즈표기 같은 경우는 표현법이 여러가지라 사람마다 섞어쓰기도 하는데 위 표의 표기 순서 순으로 자주 쓰인다. m(마이너)표기를 - 표기로 하기도 한다.
화음의 전위(轉位, Inversion) 기호 및 표기

: 가장 아래음(베이스, Bass)에 밑음이 아닌 3음 · 5음 · 7음으로 위치를 바꾸는 것을 전위(轉位, Inversion)라 한다. 밑음이 베이스에 놓이는 것은 기본 위치(root position)라 하고, 베이스에 3음이 오는 경우를 제1전위(first inversion), 5음이 오는 경우를 제2전위(second inversion), 7음이 오는 경우를 제3전위(third inversion)라 한다. 전통화성학 화음 기호로 표시할 때에는 화음 옆 또는 위에 다음과 같이 숫자를 써넣으며, 이는 베이스로부터 다른 음들과의 음정을 표현한다. 재즈화성학 표기의 경우 슬래쉬(/)로 코드(왼쪽, 분자)와 베이스음(오른쪽, 분모)을 구분해서 표기한다.
기본위치 | 1전위 | 2전위 | 3전위 | |
전통화성학 3화음 | Ⅰ | Ⅰ₆ | Ⅰ⁴₆ | |
전통화성학 7화음 | Ⅰ | Ⅰ⁵₆ | Ⅰ⁴₃ | Ⅰ⁴₂ |
재즈화성학 | C | C/E | C/G | C/B, C/B♭ |
오류 및 오타나 궁금한 질문이나 요구사항은 덧글 달아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처리하겠습니다.
'음악 > 음악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기초#10 마침표와 반복기호 (0) | 2024.08.13 |
---|---|
음악기초#9 음계와 선법 (0) | 2024.08.09 |
음악기초#7 음정 변화와 계산 (1) | 2024.08.07 |
음악기초#6 음정 (0) | 2024.08.02 |
음악기초#5 조표와 임시표 (0) | 2024.08.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ADSR
- 오디오 커넥터
- 컴프레서익스팬더차이
- 음정
- 장음정
- 감음정
- 플러그인
- samplingrate
- 스피커레벨
- 믹싱
- 오블완
- 노미널레벨
- 음악용어
- 샘플링레이트
- 음향 엔벨로프
- 완전음정
- 인스트루먼트레벨
- 미디 플러그인
- 서스테인
- 컴프레서 종류
- 레벨매칭
- 향수
- 리버브
- 증음정
- 딜레이
- 컴프레서
- 단음정
- 라인레벨
- 컴프레서리미터차이
- 음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