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컬 튠 믹싱 작업 시에 은근히 고생을 많이 하게 되는 작업 녹음을 한 보컬의 실력(완급조절, 감정선, 고음처리, 보이스 톤 등) 녹음된 소스의 컨디션(잡음, 노이즈 유입, 마이크와의 거리 문제 등) 이런 것들은 재녹음 하지 않는 한 좋게 고치기 굉장히 어렵다 애초에 받을 때 잘 받아놔야 튠을 해도 좋게 됨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튠 작업 시작 보컬 튠 프로그램(플러그인) Antares의 Auto-Tune T-Pain Effect라고 알려진 요즘 튠된 사운드를 내기에 적합 Pro버전에서는 Graph 모드를 제공해서 다른 보컬 튠 프로그램처럼 음정을 직접 수정할 수 있으나 화면이 보기 불편하고 약간의 딜레이가 생겨서 추천하지는 않는 편 Celemony의 Melodyne 현존하는 보컬 튠 프로그램 중에..

⚠️ 믹싱 기본 마인드 📌 기초공사 확실하게 - 드럼, 베이스 위치 설정, 밸런스 📌 믹스 이전에 레코딩과 에디팅이 중요 “나쁜 레코딩으로 훌륭한 믹스를 만들 수 없다” “똥덩어리를 빛나게 할 수는 없다” 🎼 장르별 믹스 특정 장르에서 메인이 되는 사운드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밸런스를 잡아 나가는 것이 중요! ex) 힙합/R&B/댄스/팝 장르 같은 경우 '리듬 악기(드럼, 베이스)'의 사운드를 중심으로 나머지 사운드가 올라가는 느낌 ex) 발라드 같은 경우 '보컬, 피아노,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를 중심으로 나머지 사운드가 올라가는 느낌 👉 힙합(Trap/Drill) : 드럼(808 Kick, 808 Bass 사운드가 메인) 사운드가 메인이 되는 장르 808이란? ROLAND 사의 TR..

신디사이저(Synthesizer)Synthesize + ~er, 소리를 합성하는 장치 & 악기전자적인 진동(소리)를 발생시켜서 Filter, LFO, ENV 등의 이펙팅을 통해 소리를 다듬고 합성해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함 오실레이터(OSC, Oscillatior)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일반적으로 4개의 파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음 사인(Sine)기음만 있고 배음은 없는 파형으로, 가장 부드러운 소리가 남베이스, 신스 패드, 일렉트릭 피아노, 킥 사운드 등을 디자인하는 데에 씀 트라이앵글(Triangle)사인파에 홀수 배음이 추가된 형태의 파형으로, 부드럽지만 약간의 질감이 더해진 소리가 남(홀수 배음 때문)베이스, 신스 패드 등을 디자인하는 데에 씀 펄스, 사각(Pulse, Square)..

플러그인(Plug-in)프로그램 자체 내에 내장된 기능은 아니지만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본래의 소프트웨어가 부족한 면을 보강해 주는 프로그램 ❗️음악 플러그인 및 가상악기 설치 시 주의점 Windows플러그인 및 가상악기 구동 파일의 확장자는 *.dll / *.vst3 로 나뉨보통 *.dll 같은 경우는 C>Program Files(x64)>VSTplugins 폴더에 설치보통 *.vst 같은 경우는 C>Program Files- Common Files>VST3 폴더에 설치 ; VST3 포맷은 자동으로 이 경로에 설정이 되어 있음, VST2 포맷이 더 오래된 포맷이므로 VST3 포맷을 지원한다면 굳이 설치할 필요 없음가상악기 설치 시 DAW 꺼져있어야 함 Mac OS플러그인 및 가상악기 구동 파일..

마스터링(Mastering)음원 발매 전 최종 조정 과정음압 확보믹스 단계에서의 문제점 보완앨범 단위일 경우 곡과 곡 사이의 레벨, 시간차 설정CD 프레싱 마스터링 순서EQ(Equalizer) (뭉치는 구간 200hz ~ 300hz)이미저(Imager)다이나믹(Dynamic)익사이터(Exciter, 멀티밴드 디스토션)맥시마이저(Maximizer)리미터(Limiter)디더링(Dithering) 사용 플러그인들EQ (Pro-Q3, WAVES F6-RTA, REQ-6, MEQ-5, EQP1A 등등)Saturator (Inflator, Omega TWK, SSL Native-X Saturator 등등)Compressor (Shadow Hills Mastering Compressor, SPL IRON, WAVES..

일반적인 음악 작업 과정작/편곡 - 레코딩 - 믹싱 - 마스터링 - 발매믹싱 과정러프 믹싱 - 다이나믹 프로세싱 - 공간계 프로세싱 러프(rough) 믹싱각 스템(Stem)의 게인(Gain) 조절과 팬(Pan)조절만로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너무 세세하게 작업 하지 않음 - EQ Comp 조절 시 볼륨 변함장르의 사운드적 특성을 이해하고 가는 것이 중요개별 사운드를 전체적인 사운드를 같이 들어보며 고려하나씩 들어가며 dB 레벨을 밸런싱dB 레벨을 조정할 때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올리거나 내림 Meter를 보며 0을 넘어가지는 않는지 체크트랙 별로 들어보고 나서 추가로 dB를 조정하면 됨리듬 : 트랙별로 dB 레벨 조정건반 : dB 레벨 조정과 함께 기타와의 위치를 구상하고 Panning(소리 ..
음악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들입니다. 다른 분야에서 쓰는 동음이의어에 주의해주세요.오류나 추가내용은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키(Key) :사전적 정의는 조(調)라는 뜻. 즉, 조성(調性, tonality)을 구체적인 모양으로 나타낸 것 (출처: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쉽게 말하면 음악시간에 배운 장조, 단조 혹은 노래방 등에서 노래를 부를 때 음역대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한 키, 반 키 내려주세요, 키 업해주세요, 키를 잘못 잡았네" 할 때 그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엄밀히 말하자면 키는 음계에 가깝지만 키를 바꿨을 때 중심음(으뜸음, Tonic)이 바뀜으로 전체적인 음높이가 위 아래로 평행이동한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노래를 예로 들면 원키 라는 것은 원곡(가수)의 본래 키를 말하고,..
예술을 분류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미술은 공간예술, 음악은 시간예술이라고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특히 음악은 시간도 공간도 모두 다 중요한 것 같다. 예를 들자면 뮤지컬이나 콘서트 같은 공연은 좌석에 따라 청취환경이 달라짐으로 가격 차이가 발생하고, 똑같은 음악이 방에서 듣는 것과 화장실, 스튜디오에서 들을 때 또 다르게 느껴진다. 이처럼 소리(음악)와 환경(음향)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 이유를 간단히 말하자면, 1. 소리는 파동(음파)이라 주변 환경(반사, 흡수, 회절, 거리 등)의 영향을 받아 원래 소리(원음)가 듣는 사람(청자)에게 왜곡되어 전달된다. 원음을 왜곡없이 100% 들을 수 있는 환경은 인위적으로 만든 환경(무향실 등)으로도 구현해내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라인레벨
- 증음정
- 향수
- 음악
- 서스테인
- 컴프레서
- 오디오 커넥터
- 인스트루먼트레벨
- 음정
- 스피커레벨
- 오블완
- 플러그인
- 노미널레벨
- 장음정
- 음악용어
- 컴프레서익스팬더차이
- 미디 플러그인
- 감음정
- 믹싱
- 컴프레서 종류
- samplingrate
- 리버브
- 딜레이
- 샘플링레이트
- 컴프레서리미터차이
- 레벨매칭
- 완전음정
- 음향 엔벨로프
- 단음정
- ADS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